본문 바로가기

장뇌축2

새는 장 증후군?🚽만성피로, 염증의 숨겨진 주범, 장 건강 바로잡기 장 건강 이야기를 할때마다 매번 물어보는 질문이 있습니다. 우리 장이 위치하는 곳은 몸 안일까요? 밖일까요? 사실 인체의 내부에 있으면서도 기능적으로는 인체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장기가 바로 장(腸)기관입니다. 우리가 병원에서 검진을 하실때, 간이나 심장 같은 기관을 보시잖아요? 근데 그거는 엑스레이나 CT, MRI를 찍으면서 사실 간접적으로 우리가 보는 것이지 직접 볼 수는 없습니다. 그럼데, 이 장은 다들 아시겠지만 내시경을 통해서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의료진이 직접 보면서 처치를 하기도 하고 시술을 하기도 하죠. 그래서 이 장이라는 것은 그 어떤 장기보다도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장기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한때, 한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 20년 전까.. 2025. 7. 31.
과민성대장증후군과 정신건강: 장뇌축의 연결고리 마이크로바이옴 중요한 일을 앞두고 갑자기 배가 부글부글하여 요즘 말로 "급또ㅇ" 때문에 난처했던 경험이 다들 있으실 겁니다. 하루에도 몇번씩 꼬르륵 거리며 아프고, 시도 때도 없이 가스가 차고 방귀나 트림이 나와 중요한 미팅이나 만남에서 난처해지는 상황들,,,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입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미주리 대학 연구팀이 과민성 대장증후군 치료를 받은 약 120만명의 환자의 3년간 진료 기록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환주 중 39%이상이 불안장애가 있었으며, 27%는 우울증을 겪고 있었다고 합니다. 행복호르몬 세로토닌은 어디서 생성될까요? 우리에게 행복감과 활력을 느끼게 해주는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이 가장 많이 생성.. 2024. 4. 29.